본문 바로가기

똑똑해지는 글

전자의 발견! 19세기말 전기에 대한 발견이 계속되면서 많은 발명품이 쏟아져나오기 시작한다하지만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한가지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전기의 본질이었다.전기를 가진 원자에 의해 발생한다는것은 많은 과학자들의 실험으로 입증되었지만전류가 도선을 지날 때 원자가 어떻게 다른 원자 사이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지는 누구도 풀지 못한 수수께끼였다.그러던 중 세기의 발견이 탄생했으니 바로 1897년 영국의 물리학자 톰슨의 업적이었다.톰슨은 원자가 거의 없는 진공상태의 유리관 양쪽에 전극을 장착하고전지를 연결하여 유리관을 통과하여 전기가 지나도록 했다.그리고 전류를 흘렸을 때 실로 초록색의 빛이 이동하는걸 볼 수 있었다.이것이 전기를 가진 원자인지 확인하기 위해 그는 기발한 발상을 했는데바로 전자석을 유리관 가까이.. 더보기
핵물리학과 입자물리학의 시작. 방사능 발견. 방사능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역사에 위대한 발견중엔 우연히 발견되는 것들이 많다.방사능의 발견도 우연한 계기로 발견되었다.1896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베크렐은 X선의 발견으로 큰 자극을 받았다.뢴트겐이 말한 X선이 유리벽에 나타나는 형광과 모종의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말은 그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그는 형광물질을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이 때 사용한 물질이 바로 황산우라닐칼륨이었다.바로 방사능의 원소인 우라늄이 포함되어있는 물질이다.그는 이 황산우라닐 칼륨을 가지고 햇빛의 일광 실험을 할 생각이었지만이상하게도 연일 흐린날씨가 반복되었고그는 연구를 미룰 수 밖에 없었다.베크렐은 잘 싸둔 카메라 필름위에 황산우라닐칼륨을 올려 서랍속에 넣어두었다.그리고 며칠 후 일광실험을 하려고 넣어둔 황산우라닐칼륨.. 더보기
X선의 발견 - 최초의 노벨 물리학상 탄생 병원에서 쉽게 찾아보고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해본X선 촬영. 이 X선 촬영은 아주 특별한 경로로 발견 되었습니다.최초의 노벨 물리학상을 안겨준 발견이기도 한데요우연한 발견이 얼마나 위대한 업적이 되었는지 신기합니다.1895년 11월 8일. 독일의 과학자 빌헬름 뢴트겐은 평소와 같이 실험을 하고 있었다.검은 종이로 꽁꽁 둘러싼 크룩스관으로 방전 실험을 하고 있었는데그는 전류가 기체를 지날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특수 화학약품을 바른 종이를 한장 준비했다.유리관쪽에 종이를 두면 빛이 날거라고 생각한 뢴트겐은 종이가 빛의 내는 모습을 잘 관찰하기 위해서 커튼을 쳐 실험실을 깜깜하게 만들었다.그런데 신기하게도 유리관 근처에도 가지 않은 종이가 스스로 빛을 내고 있었다.그 빛은 전류를 차단하자 사라졌.. 더보기
발견은 사소한 곳에서 시작된다. 도플러효과. 도플러효과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경찰차 사이렌 소리가 다가올 때 들리는 소리와 바로 옆에 있을 때 들린는 소리그리고 멀리 떠나갈 때 들리는 소리.이 세가지 소리는 다 같은 소리이지만 들리기엔 다르게 들린다.바로 이것이 도플러 효과의 핵심인데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냥 넘긴 이 사소한 문제를 도플러는 다르게 생각했다.음은 파장이며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이러한 음이 멀리서 달려올 때는 귀에 닿는 음의 파장즉 주파수가 짧아지게 된다.음원체가 다가올 수록 그 음파는 더욱 짧아져 듣는 사람에게는 음의 톤이 높아지게 된다고 느낀다.반대로 멀리 떠나갈 때는 어떨까?마치 무언가 잡아당기듯이 음파는 길어지게 된다.소리는 늘어지고 톤은 낮아지게 되는것 이다.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1844년 도플러는 이중성의 색깔변화.. 더보기
빛의 입자 '광자'에 대한 접근 스펙트럼. 스펙트럼은 1666년 뉴턴이 처음 발견하게 됩니다.발견 당시 천체망원경으로 별을 관측하다보면 생기는별 주위에 밝은 빛을 띄는 7개의 빛을 보며 다른 과학자들은렌즈의 문제일것이라 생각했습니다.하지만 뉴턴은 이 것을 단순한 렌즈문제로 보지 않고문제의 근원을 찾게 됩니다.그는 이 빛의 고리가 빛과 관련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망원경 렌즈의 두께가 가운데 부분은 두껍고 바깥부분은 얇아서 측면에서 보면삼각형처럼 꼭지점이 날카롭다는 것을 발견하여 삼각형 모양의 프리즘을 만들었습니다.그가 만든 프리즘에 햇빛을 비추는 순간 원랜 무색이었던 햇빛이 7가지 색으로 분화되었습니다.너무나 신기한 경험을 한 뉴턴은 이 이름을스펙트럼(spectrum)이라 붙이게 되었죠.스펙트럼이란 유령이라는 뜻의 라틴어인 스펙터(spectre)에서.. 더보기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관성의 법칙. 뉴턴의 제 1운동 법칙은 관성의 법칙이다.이러한 관성의 법칙에 초안을 제시한 사람은 갈릴레이이다.1590년대 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모든 물체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거나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고또한 움직이는 사물엔 반드시 추진력이 있다고 믿어왔다.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은 약 2000년 동안 진리로 받아드려져 왔다.16세기 말 갈릴레이는 이러한 이론을 뒤바꿔 놓기 시작했는데그 중 하나가 바로 이 관성에 관한 이론이었다.어느날 갈릴레이는 실험을 하다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매끄러운 경사면을 따라 작은 구슬을 굴렸을 때, 경사면의 경사각이 클수록 경사각이 끝난후 수평면에서의 이동거리가 더 길게 나타났던 것이다.그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저항력이 없는 수평면에서 물체는 본.. 더보기
물리학의 시작. 자유낙하법칙.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매우 특별한 발견을 합니다.※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2.15 ~ 1642.1.8]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며 천문학자, 역학자, 철학자, 수학자 이다. 근대 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물체의 자유낙하에 대한 법칙."질량이 클수록 본래 자리로 되도려 오려는 성격이 강해지기 때문에 공중에 던졌을 때 더 빨리 떨어진다."그 근거로 깃털과 돌맹이를 함께 던졌을 때 무게가 더 무거운 돌맹이가 더 먼저 떨어졌다.이는 매우 그럴듯한 이론으로 정립되었고 논리적인 이론으로 인정받았다.또한 당시 시대상황이 아리스토 텔레스가 말한것은 무엇이든 옳다는 분위기가 팽배해서 누구도 이 의견에 이견을 내지 않았다.1590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 이론에.. 더보기
유레카! 부력의 법칙! 기원전 3세기 아르키메데스에 의해 발견된 부력의 법칙!중국의 조충도 이 부력의 원리를 이용해 코끼리의 무계를 어림잡았었죠!하지만 이 법칙을 정립한것은 아르키메데스입니다!그렇기에 지금도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가 부력의 법칙을 이야기 할 때계속 회자되는 것이겠지요~ㅎㅎ짧은 이야기를 하자면시칠리아섬의 시라쿠사라는 왕국의 국왕은 왕관을 만들라고 준 황금을 빼돌리고 다른 금속을 섞어 왕관을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의심을 하게됩니다. (의심도 많네요)하지만 실제 준 황금의 무계와 왕관의 무계가 같았기 때문에 이를 알아내기는 쉽지 않았죠.이때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하면서 발견한 법칙이 바로 부력의 법칙.황금이 다른 금속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같은 무계를 만드려면 더 많은 양의 금속이 들어갔을 터.때문에 물에 넣어봤을 때 물.. 더보기
지렛대의 원리에 관한 글. 나에게 지렛목을 준다면 나는 지구를 들어 올릴 수 있다.-아르키메데스이 이야기는 아르키메데스의 유명한 일화중 하나입니다.지렛대의 원리를 사용해 지구를 들어올리겠다는 그의 호기로운 말은사실 거짓말은 아니죠 ㅎㅎ지렛대는 인간이 사용한 기계중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입니다.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나 우리나라의 고인돌을 만들 때에도 지레가 사용되었다고 하죠~기원전 600년 고대 그리스의 학자들은 인간이 사용하는 5가지 기계를 적어두었다고 하는군요지렛대와 쐐기, 도르래, 바퀴와 축, 나사 등이 그것입니다.이 기계들 모두 지레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이 지렛대의 원리를 학문적으로 정립한것은 기원전 3세기의 아르키메데스를 통해서 였답니다.아르키메데스의 라는 책을 통해 지렛대의 물리학적 원리를 설명했다고.. 더보기
낯설게하기 - 상투성에서 벗어나 낯설게하기 [defamiliarization]"일상화 되어 친숙하거나 반복되어 참신하지 않은 사물이나 관념을 특수화하고 낯설게 하여 새로운 느낌을 갖도록 표현하는 것을 이른다."'낯설게하기'란 용어의 최초 사용자는 러시아의 빅토르 쉬클로프스키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러시아 형식주의의 주요한 문학적 수법입니다.이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소개되는 것중에 하나는 바로 뒤샹의 샘이라는 작품인데요화장실 소변기를 떼다가 미술관에 버젓이 전시해 두고 이름을 샘이라고 적었죠.아래의 사진이 바로 그것입니다.우리가 보기엔 다소 생소하겠지만 당시 상황을 생각해보면저 소변기가 공중 화장실이나 집안 화장실에서 너무나 흔하고쉽게 볼 수 있는 것이었겠죠그 흔하디 흔한. 그리고 어찌보면 더러운 물건을 화려한 미술관에 전시를 했으니관람.. 더보기